HOME > 공연예매 > 공연일정/예매
Violinist / 김현아
뉴욕 콘서트 리뷰로부터 “정교하고 화려한 테크닉, 맑고 영롱한 소리, 깊고 넒은 음역, 열정적이면서도 담백한 연주 스타일, 바이올리니스트로 최상의 기량과 미덕을 갖춘 연주자…” 라는 찬사를 받은 바이올리니스트 김현아는 10세 때 서울시향과 멘델스존 바이올린 협주곡 협연으로 음악계의 이슈가 되었고, 12세 때 미국 유학길에 올라 아론 로잔드에게 사사 하며 커티스 음악원을 졸업하고 줄리아드에서 글렌 딕테로우에게 사사하며 석사학위 및 전문연주자 과정을 졸업한 후 뉴욕 주립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 하였다.
국내에서 이화. 경향 종합대상, 한국일보 등에서 1위를 두루 석권하였던 김현아는 스위스 Tibor Varga 국제 콩쿠르에서 입상하였고,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오디션 우승, 필라델피아 챔버 오케스트라 오디션 우승 등 세계적 무대에서 상위 입상, 우승함으로써 탄탄한 실력과 탁월한 기량 그리고 풍부한 음악성을 인정받았다.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조지 에네스쿠 필하모닉, 불가리아 내쇼널 필하모닉, 상트 페테르부르크 챔버 오케스트라, 상하이 필하모닉, 세종 솔로이스츠, KBS 교향악단, 서울시향, 수원시향, 부산시향, 코리안 심포니, 서울 바로크 합주단 등 국내 및 해외의 명문 오케스트라와의 협연을 하였으며 교향악축제 및 IBK챔버홀 개관기년 독주회 등 수많은 독주회 및 실내악 연주를 통하여 폭넒은 레퍼토리와 특유의 맑은 음색으로 평론가들과 음악 애호가들에게 극찬을 받았다.
카네기홀에서의 리사이틀을 비롯하여 링컨센터 Alice Tully Hall, Merkin Hall, 도쿄의 Suntory Hall 등 세계무대에서 다수의 성공적인 연주회를 가져 왔으며, 국내를 비롯한 아시아, 유럽, 미국 등지에서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헝가리 부다페스트 페스티발에서 처음 개최된 Ilona Feher 바이올린 국제 콩쿠르, 이태리 Postacchini 윤이상 국제 콩쿠르 및 서울국제음악콩쿠르 심사 위원을 역임 하였다.
김현아는 1737년 제작된 Stradivarius Count D'Armaille로 연주하고 있으며 현재 연세대 교수로 재직 중이다.
Piano / 이경숙
이경숙은 서울예고 재학 중 장학생으로 도미, 명문 커티스 음악원에서 호로조프스키와 루돌프제르킨을 사사했다. 유학 전 국내에서 이화경향 콩쿠르 특상을 수상하며 음악성을 인정받은 그녀는 1967년 제네바 국제음악 콩쿠르에서 입상하며 세계 음악계의 주목을 받았다. 커티스 음악원 졸업 후 미국, 유럽, 아시아를 중심으로 크리스찬 페라스, 피에르푸르니에, 유디스 샤피로 등 세계의 거장들과 스위스 로망드, 홍콩 필하모닉, 프라하 심포니, 모스크바 필하모닉 등과 연주 활동을 하며 명성을 쌓아나갔다.
1987년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5곡 전곡, 1988년 국내 최초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전 32곡, 1989년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전 19곡, 1991년 프로코피에프 피아노 소나타 전 9곡을 모두 완주했다. 이어서 1993년에는 부천시향과 차이콥스키 피아노 협주곡 3곡을 협연했고, 2000년 사무엘 바버의 피아노 전곡 연주, 2003년 슈베르트 소나타 연주 등 그녀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전문 연주자의 시대를 열어 많은 연주자들에게 영감과 도전의 메세지를 던졌다. 그녀는 연주가뿐만 아니라 음악교육자로서도 많은 공헌을 했다. 1993년 우리나라 첫 국립 콘서바토리인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초대 원장으로 선임된 그녀는 국내외 유명 교수를 영입했고 국내 최초의 영재 입학제도를 도입해 파격적인 교육 변화를 통해 탁월한 행정력을 발휘하여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예술학교로 도약하는데 크게 기여했다.
그녀는 이같은 업적을 인정받아 1985년 음악동아 선정 제 1회 올해의 음악가상, 1985년과 1988년 올해의 예술가상, 1987년 난파음악상, 1988년 김수근 공연예술상, 1994년 대한민국문화예술상, 1995년 옥관문화훈장(세계를 빛낸 한국음악인), 1988년 한국음악상, 2000년 우경문화예술상, 2007년 대한민국 예술원상을 수상했다. 또한 독일 뮌헨 국제 피아노 콩쿠르, 일본 소노다 콩쿠르, 서울국제음악콩쿠르, 영 차이콥스키 콩쿠르, 노르웨이 탑 오브 더 월드 콩쿠르, 윤이상 국제음악 콩쿠르, 신시내티 국제콩쿠르 심사위원으로도 활동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초대 원장,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학장을 지낸 그녀는 현재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명예교수, ‘커티스와 친구들' 음악 대표, 대한민국 예술원 회원, 서울사이버대학 피아노과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
Antonín Dvořák (1841-1904)
4 Romantic Pieces, Op. 75
I. Allegro moderato
II. Allegro maestoso
III. Allegro appassionato
IV. Larghetto
Franz Schubert (1797-1828)
Violin Sonata in g minor, D. 408 Op. 137 No. 3
I. Allegro giusto
II. Andante
III. Menuetto – Trio
IV. Allegro moderato
Intermission
Grażyna Bacewicz (1909-1969)
Polish Caprice for Violin Solo
César Franck (1822-1890)
Violin Sonata in A Major
I. Allegretto ben moderato
II. Allegro
III. Recitativo – Fantasia. Ben moderato – Molto lento
IV. Allegretto poco mos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