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공연예매 > 공연일정/예매
Soprano / 도희선
기품 있는 음색과 세련된 음악성으로 감각적인 무대를 선사히는 소프라노 도희선은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성악과를 졸업한 후 독일로 유학하여 베를린 국립음대(Universität der Künste Berlin, UdK)에서 전문연주자과정을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였다.
귀국 후 "Die Zauberflöte(미술피리)"에서 "Königin der Nacht(밤의 여왕)"으로 무대에 올랐고 현재는 "Pamina"로도 영역을 넓혀갔으며 그 외 Rossini “La Cenerentola”. “Il barbiere di Siviglia”, Verdi “Rigoletto”, “La traviata”, Puccini “La bohème”, Donizetti “L'elisir d'amore”, “Lucia di Lammermoor”, Nicolai “Die lustigen Weiber von Windsor”, Offenbach “La vie parisienne”, 현대오페라 B. Blacher “Abstrakte Oper Nr.1”, M. Kagel “Aus dem Staatstheater”, 국립오페라단의 예술의전당 기획오페라 Rachel Portman “The Little Prince” 등 다수의 고전 오페라와 현대 오페라를 오가며 호연하였다.
오페라 외에도 폭넓은 레퍼토리를 바탕으로 가곡. 오라토리오를 통해 관객 과의 만남을 지속하며 다수의 Liederabend를 무대에 올렸고 오라토리오 Pergolesi “Stabat Mater”, Vivaldi “Gloria”, Händel “Messiah“, "Neun deutsche Arien“, Bach “Magnificat“, “Matthäus Passion“, Mozart "Requiem“, "Krönungsmesse“, "Exsultate Jubilate“, Mendelssohn "Elijah“, Th. Dubois “The Seven Last Words of Christ”. Beethoven “Symphony No.9”, “Mass in C Major” Haydn “Die Schöpfung”, “Nelson-Messe”, Verdi “Requiem” 등 유수의 작품에서 솔리스트로 활약하며 뛰어난 음악적 기량을 유감없이 발휘하였고 전문연주자로서 입지를 탄탄히 다져나갔다.
현대음악에도 남다른 애정을 보인 소프라노 도희선은 베를린 음대 재학 시절 현존하는 현대가곡의 거장 Prof. Axel Bauni와 가곡 연구 및 연주에 참여하여 현대음악에 대한 관심과 학구적인 모습을 보여준 바 있으며, 한국에서도 꾸준하게 현대음악을 시도하며 음악적 스펙트럼을 넓혀나가고 있다. 오스트리아의 잘츠부르크 Mozarteum Großer Saal에서 Zagreb Festival Orchestra와 협연을 비롯 Bulgarian National Radio Symphony Orchestra, Austria Vienna Waltz Orchestra, North Czech Philharmonic Orchestra, 성남시립오케스트라, 군포 프라임필하모닉오케스트라, 심포니 송 오케스트라, 서울 필하모닉 등 국내외 다수의 오케스트라들과 함께 꾸준한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특히 Covid19 중에도 북체코 필하모니와 체코 프라하 스메타나홀에서 협연하며 관객들의 박수갈채를 받았으며 곧 이어 독일 베를린 필에서 베를린 심포니커와 협연하며 다시한번 뜨거운 감동을 선사하였다.
또한 국립국악원에서 국악 오케스트라 '다스름'과 함께 한국예술종합학교 작곡과 김성기 교수의 작품 발표를 하였다.
끊임없는 노력을 통해 장르를 넘나들며 관객들을 찾아가고 있는 그녀는 Vocalist CALLIOPE 활동과 더불어 MBC '가곡의 밤', 'TV 예술무대', 'TV 문화사색' 그리고 CBS 주최 콘서트와 FEBC 콘서트 연주자로 출연하는 등 다수의 방송 출연을 통해 클래식의 대중화에 힘쓰고 있다. 또한 많은 예술중학교와 예술고등학교에서 초청 마스터 클래스를 가지며 다음 세대의 클래식을 위해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소프라노 도희선은 현재 바로크와 현대가곡연구회, 한국슈베르트협회, 한국독일가곡연구회, 리더라이히 전문연구위원, Vocalist CALLIOPE 멤버로 활동하고 있으며 선화예중고, 연세대, 동덕여대 성악과, 숭실대 음악원 외래교수 역임하고 현재는 선화예고, 연세대 성악과, 연세대 교회음악과, 벨라비타문화예술원에서 실기 지도교수로서 후학양성에 힘쓰고 있다.
Piano / 정호정
이화여자대학교 및 동대학원 졸업
미국 Juilliard School 석사, Artist Diploma 졸업
국립오페라단, 서울시립오페라단, 예술의전당, 성남 문화재단, 아트센터 인천, Juilliard School등에서 오페라 코치로 활동
Lyndon Woodside Oratorio-Solo Competition, Ravinia Festival, 서울국제콩쿨 등 공식 반주자 역임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한양대학교, 국립오페라단 스튜디오 출강
꽃 [k͈o̞t̚]
Flower
H. Wolf (1860-1903)
Blumengruss – 꽃인사
A. Webern (1883-1945)
Blumengruss – 꽃인사
A. Scarlatti (1660-1725)
Le violette – 제비꽃
W. A. Mozart (1756-1791)
Das Veilchen – 제비꽃
F. Schubert (1797-1828)
Heidenröslein D.257 들장미
Nachtviolen D.752 밤제비꽃
R. Strauss (1864-1949)
[Mädchenblumen, Op.22]
1. Kornblumen 수레국화
2. Mohnblume 양귀비꽃
3. Epheu 담쟁이꽃
4. Wasserrose 수련
G. Fauré (1845-1924)
Fleur jetée, Op.39 No.2 버려진 꽃
Le papillon et la fleur, Op.1 No.1 나비와 꽃
INTERMISSION
W. Roy (1928-2003)
This Little Rose - 이 작은 장미꽃
R. Quilter (1877-1953)
[Seven Elizabethan Lyrics, Op.12] 중
Damask roses - 다마스크 장미들
김성태 (1910-2012)
산유화
김동진 (1913-2009)
진달래꽃
김동진 (1913-2009)
목련화
R. Schumann (1810-1856)
Die Lotosblume, Op.25, No.7 연꽃
Du bist wie eine Blume, Op.25, No.24 당신은 한 송이 꽃
Meine Rose, Op.90, No.2 나의 장미
G. Rossini (1792-1868)
La fioraia fiorentina - 피렌체의 꽃파는 아가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