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공연예매 > 공연일정/예매
첼리스트 김두민은 깊고 숭고한 울림이 빛나는 연주로 사랑받으며 솔리스트와 실내악 연주자로서 꾸준히 한국과 유럽 무대에서 활동하고 있다. 서울시향, 인천시향, 경기필하모닉, 대전시향, 청주시향,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와 협연했고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 무대에 올랐으며, 평창대관령음악제에 정기적으로 초청받아 연주하고 있다. 2018년에는 금호아트홀에서 피아니스트 김태형과 베토벤 첼로 소나타 전곡을 평단과 청중의 호평 속에 선보인 바 있다.
아스펜 뮤직 페스티벌 오케스트라, 핀란드 라디오 오케스트라, 헬싱키 필하모닉, 뮌헨 체임버 오케스트라, 헝가리 필하모닉, 타피올라 체임버 오케스트라, 뒤셀도르프 심포니 오케스트라를 포함한 유럽 굴지의 오케스트라와 협연했으며, 오슬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는 앙드레 프레빈의 지휘로 노르웨이와 독일에서 성공적으로 순회공연 협연을 올리기도 했다.
한국에서 이미 동아음악콩쿠르, 안익태 첼로 콩쿠르를 우승하며 일찍이 두각을 나타낸 김두민은 아스펜 협주곡 콩쿠르에서 우승, 파울로 국제 첼로 콩쿠르에서 상위 입상하며 국제 콩쿠르 무대에서도 성공적으로 데뷔하였다. 특히 베르비에 음악 페스티벌에서 APCAV상을, 유럽문화재단에서 차세대 예술가상을 수상하며 예술가적 능력을 인정받았다.
2000년부터 안네 소피 무터 재단의 후원을 받게 되었으며, 특히 안네 소피 무터와 다수의 실내악 연주를 함께하며 그로부터 큰 음악적인 영향을 받게 되었다. 2011년부터 결성된 무터 비르투오지 앙상블의 멤버로서 유럽, 중국, 대만, 한국에서 성공적으로 순회공연을 마쳤다.
김두민은 서울에서 태어나 아홉 살에 첼로를 시작했으며 예원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를 졸업한 후 독일 하노버 국립음대에서 디플롬 과정을, 쾰른 국립음대에서 최고연주자과정을 졸업하였다. 장형원, 정명화, 틸만 비크, 프란스 헬머슨을 사사했으며, 스티븐 이설리스, 린 하렐, 아르토 노라스, 보리스 페르가멘시코프의 마스터 클래스를 참가하여 예술적인 영감과 이해를 넓혔다.
김두민은 2004년부터 2022년까지 독일 뒤셀도르프 심포니 오케스트라 첼로 수석을 역임했으며 2022년부터 서울대 음대 교수로 재직중이다.
김태형 Tae-Hyung Kim, Piano
피아니스트 김태형은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포르투 국제 피아노 콩쿠르, 트리에스테 국제 실내악 콩쿠르, 멜버른 국제 실내악 콩쿠르 등 피아노 및 실내악 분야에서 다수의 1위 및 입상을 거뒀다.
영국 로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러시아 내셔널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프랑스 국립 오케스트라, 벨기에 국립 오케스트라 등 세계 유수의 오케스트라와 협연 무대를 가졌으며, 블라디미르 스피바코프, 마린 알솝 같은 명 지휘자 및 정경화, 노부코 이마이, 크리스토프 포펜, 바딤 레핀 등 세계적인 명 연주자들과도 호흡을 맞췄다.
김태형은 예원학교, 서울예고, 한국예술종합학교(강충모 사사)를 거쳐 독일 뮌헨 국립음대에서 엘리소 비르살라제 사사로 최고연주자과정을 마치고 이후 모스크바 차이콥스키 음악원에서도 수학했다. 또한 뮌헨 국립음대에서 헬무트 도이치의 사사로 성악가곡반주 최고연주자과정을 졸업하였고, 트리오 ‘가온'의 멤버로서 실내악 지도의 명인 크리스토프 포펜과 프리드만 베르거 문하에서 실내악 과정 역시 수학하였다.
2018년 그의 음반 ‘The Portrait' (Sony)가 발매되었으며 현재 경희대 음대 교수로 임용되어 후학을 양성, 성남아트센터의 마티네 시리즈 진행자로서도 관객을 만나고 있다.
첼로
소나타
제6번 A장조,
G.4 중(첼로와 피아노 연주)
Cello Sonata No.6 in A Major,
G.4(excerpts, performed on Cello and Piano)
Adagio
Allegro moderato
프란츠 슈베르트
Franz Schubert
아르페지오네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a단조,
D.821 (첼로와
피아노
연주)
Sonata for Arpeggione and Piano
in a minor, D.821 (performed on Cello and Piano)
Allegro moderato
Adagio
Allegretto
I N T E R M I S S I O N
클로드 드뷔시
Claude Debussy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d단조
Sonata for Cello and Piano in d
minor
Prologue. Lent, sostenuto e molto
risoluto
Sérénade. Modérément animé
Finale. Animé, léger et nerveux
벤자민 브리튼
Benjamin Britten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C장조, Op.65
Sonata for Cello and Piano in C Major,
Op.65
Dialogo. Allegro
Scherzo – pizzicato. Allegretto
Elegia. Lento
Marcia. Energi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