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공연예매 > 공연일정/예매
피아니스트 이주혜 박사는 선화예술 중, 고등학교,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을 졸업하고 미국 인디애나 대학 (Indiana University)에서 피아노 연주 석사, 일리노이 대학(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에서 피아노 교수법 석사, 하프시코드 석사, 그리고 피아노 연주와 문헌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리노이 대학 재학 당시 반주 조교, 강의 조교로서 전액 장학금을 받았으며 The National Scholars Society (미국 우수 장학생 선발), The College Music Society 회원이었다. 국내에서 김경희, 김혜림, 이명학 교수를 사사하고 도미하여 Christopher Harding, Jean-Louis Haguenauer, Ian Hobson, Charlotte Mattax, Read Alexander 교수를 사사하였다. 서울대학교 재학 중 피아노 듀오 “Fantasia”를 결성하여 한국 페스티벌 앙상블 홀과 국립현대미술관 대강당에서 연주하였고 2005년 미국에서 피아노 듀오 팀 “The Pianissimo”를 결성하여 현재까지 미국과 한국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유학 중 미국 콜로라도에서 열린 The College Music Society Rocky Mountain Chapter Conference에서 피아노 듀오를 주제로 연주 및 발표, Concerto Urbano와 바흐의 하프시코드 협주곡 협연, Kankakee Piano concerto Competition에서 입상하였으며 1994년부터 국내외에서 꾸준히 독주회와 실내악 연주, 마스터 클래스에 참가하여 음악적 역량을 키우고 성숙시켜왔다. 2007년 가을 귀국하여 한국문화예술위원회로부터 2008년 신진예술가로 선정되었으며 2008년 2월 귀국 독주회 <피아노 음악 발달의 흐름>, 2009년 독주회 <서른가운데...>, 2010년 독주회 <RUSSIA>, 2012년 독주회 <여름> 등의 독주회를 개최하고 사랑의 악기보내기 II, III, 건반을 사랑하는 사람들, 인디애나 동문음악회, 일리노이 동문음악회, 교과서에 나오는 클래식 음악, 영산그레이스홀 금요 초청음악회, 2008 그랜드 피아노 콘서트, 2009 아시아 태평양 현대음악제, 봄의 향연, 대한민국 실내악 작곡제전, 2009년과 2011년 시와 음악이 있는 밤, 광양 도심숲가꾸기 음악회, 한국피아노두오협회 정기연주회, 한국피아노학회 정기연주회, The Pianissimo 정기연주회 <여섯빛깔 피아노>, <여덟 손의 향연>, <여인의 향기>, <런던피아노포르테악파와 피아노 듀오>, <세계음악순례>, <전자음악과 피아노 앙상블> 등에 출연하였다. 2014년 2월에는 미국 텍사스와 조지아 주에 위치한 3개의 대학에서 초청받아 The Pianissimo <여덟 손의 향연> 피아노 앙상블 연주 및 마스터 클래스와 강연 등을 하며 폭넓고 활발한 연주활동을 펼치고 있다. 또한 피아니스트 이주혜 박사는 2011년 창립한 [The Pianissimo 음악예술학회] 회장 및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이사로서 연주활동 못지않은 활발한 학술활동을 하고 있다. 2010년 피아노 전문잡지인 [The Piano: 피아노 음악]에 '시대적 연주관습' 시리즈를 연재, [International Piano]에 피아노 교수법과 관련한 글 및 마스터 클래스와 특집 글 게재하였다. 2010년, 2011년, 2012년, 2014년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정기 학술대회 및 2011년 분기발표, 2011년, 2012년, 2014년 음악예술학회 학술대회에서 '17세기 프랑스의 비정량 프렐류드', '18세기 런던 피아노포르테악파와 피아노 듀오', '바로크 건반악기의 바소 콘티누오', ‘Johann Christian Bach의 <두 대의 건반악기를 위한 소나타> Op. 15, No. 5의 분석 및 고찰' 등의 주제로 발표하였고 2012년과 2014년 학술지 『음악과 예술』, 2013년 『한국달크로즈저널』에 논문을 게재하였다. 현재 이누리 평생교육원 전임교수로 재직하며 그 외에 명지대학교 페다고지 대학원 객원조교수, 그리고 The Pianissimo 음악예술학회 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1. 춤의 놀이
F. Chopin(1810-1849) Gande Valse Brilliante(화려한 대원무곡) in E-flat major Op. 18
2. 춤의 사랑
R. Schumann(1810-1856) Davidsbündlertänze Op. 6
Heft I |
Lebhaft(활기있게) |
Innig(마음으로부터 친밀하게) | |
Mit Humor(유머러스하게) | |
Ungeduldig(성급하게) | |
Einfach(단순하게) | |
Sehr rasch(매우 빠르게) | |
Nicht schnell(빠르지 않게) | |
Frisch(생기있게) | |
Lebhaft(활기있게) | |
Heft II |
Balladenmäßig.Sehr rasch(발라드 풍으로, 매우 빠르게) |
Einfach(단순하게) | |
Mit Humor(유머러스하게) | |
Wild und lustig(거칠게, 즐겁게 | |
Zart und singend(부드럽게 노래하면서) | |
Frisch(생기있게) | |
Mit gutem Humor(경쾌한 유머를 가지고) | |
Wie aus der Ferne(멀리서 들려오듯이) | |
Nicht Schnell(빠르지 않게) |
3. 춤의 색깔
J. S. Bach(1685-1750) Partita (파르티타) in e minor No. 6, BWV 830
Toccata (토카타, 즉흥곡) | |
Allemanda (알르망드, 독일) | |
Corrente (코렌테, 이탈리아) | |
Air (에어, 성악곡) | |
Sarabande (사라방드, 스페인) | |
Tempo di Gavotta (가보트, 프랑스) | |
Gigue (지그, 영국) |
4. 춤의 시
M. Ravel La Valse: Poème chorégraphique (라 발스: 춤의 시)